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베트남 하노이 시내 버스 '월 정기권' 구매 완료!
    어쩌다 베트남 2020. 4. 13. 07:19

    드디어 하노이 생활 1년이 넘어서야 하노이 시내 버스 정기권을 신청하고 발급받았다!

     

    출퇴근이 도보였기도 하였지만, 처음 베트남 버스를 탔을 때 우리나라 70년대 처럼 버스 차장이 있다는 사실에 임팩트가 컸었는지 버스를 제법 자주 타면서도 한달 정기권이란 개념 자체를 생각조차 못해 버스를 탈때마다 매 번 잔돈을 내고 탔다. 

    생각해보니 한국에서도 티머니 충전과 체크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을 탔으니 인생 처음으로 베트남에서 정기권을 쓰는 셈이다.

     

    ▶ 하노이 시내버스 요금 (12개 구 기준) : 7,000 VND ~ 8,000 VND ( 한화로 약 400원 )

     

    하지만 최근 이사를 하면서 집 앞에 바로 버스정류장이 있어 매일 아침, 저녁으로 버스를 타다보니 잔돈들이 쌓이면서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해 잊혀졌던 정기권이라는 키워드가 갑자기 생각나 얼른 구글링하여 구매를 진행하였다.

     

    하노이 시내버스 정기권 신청은 온라인으로 가능하다. 증명사진 2X3사이즈 사진과 함께 주소 및 연락처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신청이 진행되고 입력한 주소로 카드를 발급받게 된다. 

     

    하지만 나 같은 경우에는 사이트를 통해서 했는데 신청이 제대로 되지가 않는 것 같아 그냥 내가 사는 동네에서 가까운 종합버스터미널에 직접 증명사진을 들고가서 발급 신청을 하였다. 신청서는 매우 간단하며 발급 기간은 약 1주일 정도 걸린다. ( 신청 비용은 2만동 )

     

    하노이 시내버스 정기권 신청 사이트 : http://timbus.vn/Ticket

    신청 후 1주일 뒤 정기권을 수령하게되면 스탬프 (우표 같이 생김)를 사서 정기권에 붙여야된다. 이 우표에 몇 월달인지 적혀있기 때문에 버스를 탈 때 카드를 버스 차장에게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한 달 요금 (200,000 VND ; 한화 약 1만원)을 내면 사진에서처럼 우표를 붙여준다. 이 우표를 해당 기간에 버스 승차시 차장에게 보여주면된다.

    다만 버스 한 달 정기 요금을 낼 때, 한 가지 주의 할 사항이 있다. 바로 한 달 요금의 기간은 요금을 낸 시점부터 적용이 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정기권을 신청한 건 3월 초였다. 그리고 정기권을 버스터미널에서 수령하고 한달 요금 (20만동)을 지불 한 건 열흘 뒤였다. 당연히 나는 요금을 3월 중순에 냈으니까 다음 달 4월 중순까지 해당 카드로 탈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주변 현지인에게 물어보니 요금을 3월 중순에 냈더라도 우표가 3월 달이기 때문에 4월 1일 부터는 4월 달 우표를 다시 사야 된다는 것이었다. 

     

    기타 선진국처럼 전자식 교통카드가 아니고 아직 버스기사와 버스차장이 같이 운행하는 현재의 베트남 대중 교통 시스템이 공사가 한창 마무리 단계인 2개의 도시 전철 노선이 개통 할 때에는 어떻게 변할 지 궁금하다.

    댓글

Outlander